반응형 대사작용2 운동 후 회복기의 대사적 반응을 알아보자 운동참여자가 20~30분 동안 편안하게 유지할 수 있는 속도로 트레드밀 위에서 달리고 있다가 옆으로 점프했을 때, 대사율(산소소비량 VO2)이 항정상태에서 트레드밀 옆에서 그냥 서 있는 것과 같은 휴식상태에서의 대사율(VO2)로 바로 줄어들지는 않는다. 대사율은 운동 후에 몇 분 동안 그 상태를 유지하는데 VO2가 운동 시작 후 3분이 되는 시점에서 항정상태에 다다르게 되고, 운동 종료 후 5분 뒤에 산소소비량이 휴식상태로 돌아온다는 것을 기억하자. 이는 운동 후 몇 분 동안 산소섭취량이 트레드밀 위에 서 있기 위하여 요구되는 수준보다 더 위에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반면에 운동 참여자가 항정상태 운동을 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탈진상태로 가기까지 겨우 6분밖에 유지할 수 없는 는 것을 기억하자. 이는 대.. 2023. 6. 30. 생체에너지학 인체에서는 매분마다 수천 개의 화학작용이 일어나는데 이러한 반응작용을 대사작용(metabolism)이라고 한다. 화학적 반응을 포함하는 대사작용에는 분자를 합성하는 동화작용(anabolic reaction)과 분자들을 분해하는 이화작용(catabolic reaction)이 있다. 모든 세포들은 에너지가 필요하다. 우리가 흔이 아는 탄단지라고 불리는 탄소화물, 단백질, 지방 등과 같은 음식물을 분해시켜 생물학적으로 이용 가능한 에너지 형태로 전환하는 화학적 경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과정을 연구하는 것을 생체에너지학(bioenergetic)이라고 부른다. 사람이 뛰고, 달리고, 수영하기 위해서는 골격근 세포들이 음식 영양분에서 에너지를 끊임없이 공급받아야 한다. 실제적으로 음식물에 포함되어 있는 에너지를.. 2023. 6. 2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