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체' 태그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인체7

인체의 면역체계에 대해서 알아보자 항상성과 내부 환경을 조절하는 제어체계의 개념에 대해서 이전 포스팅에서 알아보았다. 면역체계는 신체의 이물질을 파악하고 인식하여 공격하고 파괴하는 매우 중요한 항상성 체계이다. 신체는 감염을 일으키는 외부 이물질(박테리아, 바이러스, 곰팡이 등)로부터 끊임없이 공격당하기 때문에 면역체계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감염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함으로써, 면역체계는 신체 항상성 유지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부분의 사람은 상기도감염(upper respiratory track infection)의 불편한 증상(콧물, 발열)으로 고통받은 적이 한 번쯤은 있을 것이다. 이 상부호흡기감염은 흔히 감기라고도 하며 200가지 이상의 다른 바이러스로 인하여 발생한다. 현재 감기는 세계에서 가장 흔한 유형의 감염이며.. 2023. 7. 7.
운동 중 세포신호와 호르몬 반응에 대해서 알아보자2 몇몇 호르몬 농도는 혈장에서의 수송 단백질의 양에 영향을 받는데, 스테로이드호르몬과 티록신은 혈장단백질과 결합하여 수송된다. 호르몬이 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크게 하려면 수송 단백질과 결합하지 않아야 하고, 수용체와 상호작용하는 데 자유로워야 한다. 유리호르몬의 양은 수송 단백질의 양과 호르몬 분자에 결합하는 단백질의 능력과 결합할 수 있는 호르몬의 최대량을 말하고, 친화력이란 호르몬과 결합하기 위한 수송단백질의 경향성을 말한다. 수송 단백질의 수량 및 친화력의 증가는 유리호르몬의 양을 감소시켜 세포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킨다. 예시로 임신 중 에스트로겐 수준은 티록신의 수송 단백질의 양을 증가시키고, 그것은 유리티록신의 감소를 유발하는데, 갑상샘(thyroid gland)은 이 문제를 바로잡기 위해 .. 2023. 7. 6.
운동 후 회복기의 대사적 반응을 알아보자 운동참여자가 20~30분 동안 편안하게 유지할 수 있는 속도로 트레드밀 위에서 달리고 있다가 옆으로 점프했을 때, 대사율(산소소비량 VO2)이 항정상태에서 트레드밀 옆에서 그냥 서 있는 것과 같은 휴식상태에서의 대사율(VO2)로 바로 줄어들지는 않는다. 대사율은 운동 후에 몇 분 동안 그 상태를 유지하는데 VO2가 운동 시작 후 3분이 되는 시점에서 항정상태에 다다르게 되고, 운동 종료 후 5분 뒤에 산소소비량이 휴식상태로 돌아온다는 것을 기억하자. 이는 운동 후 몇 분 동안 산소섭취량이 트레드밀 위에 서 있기 위하여 요구되는 수준보다 더 위에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반면에 운동 참여자가 항정상태 운동을 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탈진상태로 가기까지 겨우 6분밖에 유지할 수 없는 는 것을 기억하자. 이는 대.. 2023. 6. 30.
생체에너지학 2 지구의 모든 에너지는 태양에서 나온다. 식물은 태양의 빛에너지를 화학작용에 이용해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을 생성하는데,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들은 식물과 다른 동물들을 섭취하여 세포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는다. 에너지는 전기적, 기계적, 화학적 형태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는데, 모든 형태의 에너지는 상호교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예시로, 근세포는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로부터 얻은 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전환, 신체를 움직인다. 화학에너지를 역학적 에너지로 전환시키는 생체에너지 과정은 연속적인 화학작용에 의해 조절되는데, 특별한 화학작용을 논의하기 전에 세포의 화학적 반응에 대한 개념을 먼저 알아보자. - 세포의 화학반응- 인체 내의 에너지의 이동은 다양한 분자의 화학적 결합 내에 존재하는 잠재.. 2023. 6. 28.
생체에너지학 인체에서는 매분마다 수천 개의 화학작용이 일어나는데 이러한 반응작용을 대사작용(metabolism)이라고 한다. 화학적 반응을 포함하는 대사작용에는 분자를 합성하는 동화작용(anabolic reaction)과 분자들을 분해하는 이화작용(catabolic reaction)이 있다. 모든 세포들은 에너지가 필요하다. 우리가 흔이 아는 탄단지라고 불리는 탄소화물, 단백질, 지방 등과 같은 음식물을 분해시켜 생물학적으로 이용 가능한 에너지 형태로 전환하는 화학적 경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과정을 연구하는 것을 생체에너지학(bioenergetic)이라고 부른다. 사람이 뛰고, 달리고, 수영하기 위해서는 골격근 세포들이 음식 영양분에서 에너지를 끊임없이 공급받아야 한다. 실제적으로 음식물에 포함되어 있는 에너지를.. 2023. 6.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