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hysiology(생리학)' 카테고리의 글 목록 (4 Page)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physiology(생리학)18

운동 생리학의 특징 1 - 근거 기반 현장 적용 우선 의학 분야에서 근거 기반 현장 적용은 잘 설계된 실험에서 나온 연구적 근거를 평가한 후 환자에게 적합한 치료법을 주기 위하여 이론에 근거한 경정을 내리는 것을 이야기한다. 더 나아가, 근거 기반 현장 적용을 의학 분야에서 이루려면, 특정 임상적 요법이 해당하는 질병에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인지 판단하기 위하여, 기초연구 및 중개 연구를 포함한 과학적 문헌을 자세히 검토해야 한다. 운동생리학의 연구가 근거 기반의 의료 행위에 어떻게 기여했는지 보여줄 수 있는 예시를 말하자면, 심장 재활 프로그램에 운동 훈련을 포함시키는 것을 예시로 들 수 있다. 심장 재활은 심장 마비를 앓았던 사람, 심장 수술을 받은 환자를 포함한 많은 형태의 심장 질환 환자를 위한 의료 프로그램을 말한다. 심장 재활의 궁극적인 목표.. 2023. 6. 20.
현장 적용을 위한 운동 생리학 필기 노트 지구력 -유산소 트레이닝- 체력의 구성 요소 - 근력, 스피드, 지구력 유연성, 협응력 - 파워 - 근육과 스피드의 영향을 받는 것 (부하를 얼마만큼 빠르게 이겨낼 수 있는지) 근지구력 - 근력과 지구력의 영향을 받는 것 (파워를 얼마나 오래 유지할 수 있는가) 스피드 지구력 - 지구력, 스피드의 영향을 받는 것 (스피드를 얼마나 오래 유지할 수 있는가) 측정 방법 HR(Heart Rate) - 심박수 경동맥, 요골동맥, 심박수 최대심박수 계산법 : 220 - 나이 (일반인 기준이 조금 더 정확함) GPS 데이터 유산소 트레이닝 효과 심장 비대 유산소 강도 55-75%(중강도) 지연성 근육 발달, 혈액 양 증가, 모세혈관 증가 유산소 강도 75-90%(중고강도) 심 박출량 증가, 심장 크기 증가 유산소 .. 2023. 6. 19.
생리학(Physiology)란? 안녕하세요. '긍정돌 리오' 입니다. 오늘은 '생리학'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우리 몸에 대한 학문은 아주 다양합니다. 생리학, 해부학, 유전학, 생화학, 생물학 등, 그 중에서도 오늘은 '생리학'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생리학이란 사전적 의미로는 생물의 기능이 어떻게 나타나고 이루어지는지 인과관계에 대해서 과학적으로 접근하여 분석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인체생리학은 우리몸의 시스템과 기능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안정화된 내부 환경을 유지하는가에 대해 연구합니다. 이 안에는 신경, 심혈관, 내분비, 호흡기, 소화기 및 소변 시스템, 세포 생리학 및 운동 연구가 포함되어 있는데, 인간의 생리에 관한 이해는 인간이 살아가는데 가장 중요한 건강 상태를 진단하고 치료하여 전반적인 인간의 .. 2023. 6. 18.
반응형